주식, 코인

미국 증시 반등, 상승장 신호일까? 애플 테슬라 주가 전망

연화(Yeonhwa) 2025. 3. 2. 20:13
반응형

미국 증시가 모처럼 상승을 보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과 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불발 등으로 국제 정세가 안갯속으로 접어든 상황 속에서의 상승이었다.

과연 이번 상승이 미국 주식의 상승장 전환일지는 확언할 수 없지만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있지 않을까 싶은 투자자들도 있는 듯하다.

 

 

1. 나의 입장은 신중론

 

아직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이제 막 한 달이 넘었다는 점에서 국제 정세가 여전히 불확실성에 갇혀 있다.

따라서 미국 증시와 암호화폐의 바닥이 어디까지일지 알 수 없다.

그 뜻은 앞으로도 큰 변동성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주식시장과 암호화폐는 분명 지속적인 상승을 통해 가치를 더욱 높일 것이다.

 

2.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미래

 

나의 포트폴리오에 있는 애플과 테슬라 위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애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미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소비심리 위축 등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대부분 기술주들이 약세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애플은 야금야금 약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다른 기술주에 비해 애플이 오르는 이유는 '딥시크'의 영향이 큰 듯하다.

엔비디아가 높은 실적을 발표하며 과도한 우려를 불식시키기는 했지만 여전히 AI에 대한 매그니피센트7 기업들의 개발비용과 설비 투자가 과도하다는 우려가 남아 있다.

그러나 애플은 뒤늦게 AI에 뛰어들어 다른 매그니피센트7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AI에 대한 투자가 적어 '딥시크'의 파장을 피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근 애플은 향후 미국에 약 50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히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피하기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테슬라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는 재정적자 축소를 위해 연방정부 부서 통합, 지출 삭감, 공무원 해고 등을 추진하면서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공분을 사고 있다.

또한,독일대안당 선거 유세 지원에 따른 정치 개입으로 독일은 물론 유럽에서도 반감을 사고 있다.

이러한 일론 머스크의 행보는 테슬라 브랜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고 미국과 유럽 내 테슬라 차량 판매량 감소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결국 테슬라 주가는 연일 하락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가 붕괴되었다.

반응형

테슬라 주주들은 그가 정치보다는 테슬라 경영에 집중해주길 바랄 뿐이다.

하지만 누군가 나서지 않으면 미국의 재정적자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은 장기적으로 미국 증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결국 테슬라는 현재 투자하고 있는 사업만으로 평가를 받아야 할 운명이다.

당장 6월에는 저가형 테슬라 모델2 출시가 예정되어 있으며, 내년에는 로보택시인 사이버캡과 완전자율주행 시스템, 강력한 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로봇 출시가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추진한다면 향후 테슬라의 CEO가 바뀌어도 안정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테슬라는 곧 일론 머스크이기 때문에 테슬라의 핵심사업인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ESS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지며 그가 목표로 하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향후 AI 기업과 주가 전망

 

정치적 이슈로 인해 기술주들이 실적에 비해 주가 반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산업은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며 이는 현재의 혁신에서 나아가 미래에는 대중들에게 필수적인 일상의 일부가 될 것이다.

2007년 스마트폰이 지금의 세상을 변화시킨 것처럼 인공지능도 마찬가지다.

다만 반드시 거품과 조정이 발생할 것이며  AI 산업이 단순한 유행을 넘어 실질적인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해야 한다.

 

 

대중화에 성공한 기업이 미래의 시총 1위!

애플, 테슬라, 메타와 같은 기업들이 혁신을 이끄는 것은 분명하지만 어느 한 기업이 AI 시장의 절대 강자로 자리 잡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AI 발전이 스마트폰의 시대와 동일한 흐름을 따른다면 결국 최종 승자는 가장 효율적으로 대중화에 성공하는 기업이 될 것이다.

그 주인공은 지금의 시총 1위인 애플이 될 수도 있고 최근 시총 1조 달러 아래로 떨어진 테슬라일 수도 있다.

아니면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결합, XR 시장의 확장으로 일찌감치 투자를 아끼지 않은 마크 저커버그가 이끄는 메타 플랫폼스가 될 수도 있다.

 

미국 주가 전망

미국 증시는 단기적인 변동성을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기보다 장기적인 트렌드를 읽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미래를 바꿀 기업은 기술적 우위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한 통찰력과 실행력을 갖춘 곳이 될 것이다.

반응형